지사직 유지는 합법이며 정당하고 당연
민주당 당헌·당규엔 사퇴시한 규정 없어
관광공사 사장 임명 등 고유한 자치업무
시민·민주당원 "당내 보수세력 견제일 뿐"
옛 동교동계-특정 지역색 인사 등에 의혹
정책대결 집중-집안 싸움 중단해야 마땅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후보 행보에 대한 '훈수'가 점입가경이다.
도지사직 유지 여부를 놓고 민주당 일부에서 '갑론'이다.
경기도 관광공사 사장에 내정된 황교익 씨가 사퇴하게 된 부분을 놓고도 '을박'이다.
20일 시민들에 따르면 이재명 지사에 대한 당내 몇몇 후보 발언이나 행태는, 마치 옛 국민학교(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온 '당나귀 팔러가는 부자' 이야기에서처럼 아버지만 타고 가도 문제, 아들만 타고 가도 문제, 부자가 함께 타고가도 문제, 당나귀를 메고 가도 문제라는 것이다.
이재명 지사가 이른바 '지사찬스'를 사용하고 있다며 일부 후보들이 지사직 사퇴를 요구하고, 당 선관위까지 "마음은 콩밭에 가 있지 않느냐"며 "불공정 문제가 아니라 적절성 면에서 사퇴했으면 좋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시민과 당내 일부에서는 "현 시점에서 지사직 사퇴는 도정을 포기하는 무책임한 행동"이라는 의견이다.
이재명 지사는 '경선 완주와 도지사직 유지 둘 중 하나를 굳이 선택하라 요구하면 도지사직을 사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현직 지사가 대선에 출마할 경우 대통령선거일 90일 전까지 사퇴해야 한다. 오는 12월 9일이다. 민주당 당헌·당규도 현직 지사의 경선 사퇴 시한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법대로' 하겠다는 데도 훈수는 이어지고 있다.
시민들은 "지사직만 사퇴하면 되겠는가"며 반문한다.
공정하게 하려면 국회의원직도 사퇴해야 한다는 반론이다.
지난 2012년 경남지사 직을 사퇴하고 당내 경선에 나서면서 민주당 지지층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던 김두관 후보는 이재명 후보를 옹호하고 나섰다,
김 후보(국회의원)는 사회망(SNS)에 "김두관 사퇴를 비난하던 사람들이 이재명 사퇴를 요구하는 게 말이 되나. 이 후보 지사직 유지는 합법이며 정당하고 당연하다"고 밝혔다.
시민들 또한 "이 지사 측에서 다른 후보들도 의원직을 사퇴하라고 말하는데, 공평 관점에서 이게 무리한 요구냐"고 반문했다.
집행기관(도지사)과 국회의원은 업무영역이 다르다는데, 다르다면 그 차이를 인정하고 수긍해야지 그게 지사직 사퇴와 무슨 연관성이 있냐는 것이다.
'형님 먼저 대통령론'도 나왔다.
공정과는 거리가 멀다는 반응이다.
한 후보가 나이를 거론하며 본인이 나이가 더 많으니까 먼저 대통령을 하겠다고 발언에 대한 답인 셈이다.
시민들은 "대통령을 나이 순서대로 하는거냐"라며 민주당에서 사라져야 할 '꼰대시각'이라고 말했다.
이런 와중에 경기관광공사 사장 내정자가 사퇴하는 일이 일어났다.
한 후보 진영에서 '일본관광공사' 등등을 운운하며 맛 해설가인 황교익 씨를 내정한 것은 편파 선거운동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해 파문을 불렀다.
급기야 해당 대선후보가 사죄성 발언을 하고서야 마무리됐다.
일거에 '팝콘각' 구경꾼 신분이 된 경기도민 등 시민들은 "임무를 잘 수행할 사람이라는 판단이면 누구를 임명하든 임명권자 의도를 존중해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 인사에 대해 꼬투리 잡아 사사건건 딴지 걸던 국짐당(국민의힘당 애칭)이 하던 행태"라고 말했다.
다른 집 일꾼 고용하는데 '이 사람은 이래서 안 되고, 저 사람은 저래서 안 된다'는 식이라는 것이다.
정작 집 주인 격인 경기도민들은 아무 말도 없는데, 훈수질이 지나쳤다는 주장이다.
공정과 상식을 외치는 민주당에서 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 이유는 무얼까.
시민들은 "지지율 1위 후보에 대한 질시때문"이라는 시각이다.
특정 시민들은 "1위를 시샘하는 특정 후보들 간 야합"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민주당을 지지하는 일부 시민들과 민주당원인 시민들은 현 상황에 대해 "혼란스럽고 우려 된다. 정책 대결에 집중할 때"라고 말했다.
"본선이 치열할 것인데 당내 분란이 극에 달했다"며 걱정하는 기색도 역력했다.
일부 진보 시민들은 "민주당 내에도 보수 성향을 지닌 인사들이 있는 것으로 안다. 특정 지역색 발언을 하는 인사도 있다"며 한때 '녹색옷'을 입었고, 박근혜 정권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던 옛 동교동계 출신 일부와 그 아류 등을 거론한다.
또 다른 시민들은 "진보는 분열로 망한다는 말에서 보듯 분열은 필패다. 민주당 의원이 171명이다. 당연히 색깔대(스펙트럼)가 넓을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다.